선형조사법
08 해싱
선형조사법

▶개방 주소법은 특정 버킷에서 충돌이 발생하면, 비어있는 버킷을 찾는 방법이다. 이 비어있는 버킷에 항목을 저장하게 된다. 해시테이블에서 비어있는 공간을 찾는 것을 조사라고 한다.

선형 조사법에서는 만약 충돌이 ht[k]에서 발생했다면 ht[k+1]이 비어 있는지를 살펴본다. 만약 비어있지 않다면 ht[k+2]를 살펴본다. 이런 식으로 비어있는 공간이 나올 때까지 계속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. 만약 테이블의 끝에 도달하게 되면 다시 테이블의 처음으로 간다. 만약 조사를 시작했던 곳으로 되돌아오게 되면 테이블이 가득 찬 것으로 판단한다.


▶선형조사법 조사되는 위치

-h(k), (h(k)+1)%해시테이블 크기,(h(k)+2)%해시테이블 크기(h(k)+3)%해시테이블 크기 (h(k)+4)%0,0해시테이블 크기, ....

 

▶선형조사법에서 2를 삽입하고자 할 때


* 문제점 : clustering 문제(비선형법) -> 한 번 충돌이 시작 시, 그 위치에 집중되는 현상 

잠금 영역
실행 언어: c
질문하기
추가 자료
no files uploaded

추가 자료가 없습니다

여기서 새로운 학습 자료를 확인하세요!
선생님이 추가한 자료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요.